반응형
도수율(事故度數率, Frequency Rate)은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로, 일정 기간 동안 근로자 100만 시간당 발생한 재해 건수를 나타냅니다. 이 지표는 사업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, 재해 발생의 빈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.
반응형
도수율 계산 공식
도수율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:
여기서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재해 건수: 해당 기간 동안 사업장에서 발생한 총 재해 건수입니다. 이에는 경미한 재해부터 심각한 재해까지 모든 산업재해가 포함됩니다.
- 총 근로시간: 사업장에서 해당 기간 동안 모든 근로자가 일한 총 근로시간입니다. 예를 들어, 근로자 수 × 연평균 근로시간으로 계산됩니다.
- 1,000,000: 도수율을 근로시간 100만 시간당 재해 건수로 표현하기 위해 곱해주는 상수입니다.
예시를 통한 설명
예를 들어, 어떤 사업장에서 1년 동안 총 500명의 근로자가 근무했고, 각 근로자는 연평균 2,000시간을 근무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이 기간 동안 산업재해가 총 5건 발생했다고 하면, 도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- 총 근로시간 계산:
- 500명 × 2,000시간 = 1,000,000시간
- 도수율 계산:
따라서,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5입니다. 이는 근로자들이 100만 시간 일하는 동안 평균적으로 5건의 재해가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.
도수율의 활용
- 안전성 평가: 도수율이 높을수록 재해 발생 빈도가 높다는 의미이며, 사업장의 안전 관리가 미흡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.
- 비교 및 분석: 도수율을 통해 산업별, 사업장별 안전성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. 이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의 강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.
- 목표 설정: 사업장의 안전 목표를 설정할 때, 도수율을 기준으로 삼아 재해 감소 목표를 수립할 수 있습니다.
도수율은 산업재해 발생 빈도를 측정하는 지표로, 근로자 100만 시간당 재해 건수를 계산하여 사업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. 사업장의 도수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안전 관리와 예방 조치가 필수적입니다.
반응형
'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산업안전기사] 매슬로우 욕구 이론 (1) | 2024.08.28 |
---|---|
[산업안전기사]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5단계 (1) | 2024.08.28 |
[산업안전기사] 연천인률 계산 (0) | 2024.08.21 |
[산업안전기사] 캐리오버(Carryover) 현상 (0) | 2024.08.21 |
[산업안전기사] 크레인 작업 전 점검 사항 (0) | 2024.08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