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종합재해지수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재해의 심각성과 빈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입니다. 이 지수는 사업장의 안전 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, 주로 재해 예방 활동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종합재해지수는 도수율과 강도율을 조합하여 계산합니다.
1. 도수율 (Frequency Rate)
- 설명: 도수율은 일정한 근로시간당 발생한 재해의 빈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즉, 재해가 얼마나 자주 발생했는지를 보여줍니다.
- 계산식:
- 의미: 도수율이 높을수록 사업장에서 재해가 자주 발생한다는 뜻입니다.
2. 강도율 (Severity Rate)
- 설명: 강도율은 재해로 인한 손실 일수를 반영하는 지표로, 재해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. 즉, 재해가 발생했을 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나타냅니다.
- 계산식:
- 의미: 강도율이 높을수록 재해로 인한 손실이 크다는 뜻입니다.
3. 종합재해지수 (Comprehensive Accident Index)
- 설명: 종합재해지수는 도수율과 강도율을 조합하여 계산한 지표로, 재해의 빈도와 심각성을 모두 고려하여 사업장의 전반적인 재해 수준을 평가합니다.
- 계산식:
- 의미: 종합재해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사업장에서 재해가 자주 발생하고, 그 재해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반응형
예시로 이해하기
- 가정: 어떤 사업장에서 총 근로시간이 1,000,000시간이고, 재해 건수가 5건, 재해로 인한 근로 손실 일수가 200일이라고 가정해 봅시다.
- 도수율 계산:
- 이 사업장에서 재해는 100만 시간당 5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.
강도율 계산:
- 도수율 계산:
- 이 사업장에서 재해는 100만 시간당 5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.
- 강도율 계산:
- 이 사업장에서 재해로 인해 1000시간당 0.2일의 근로 손실이 발생했다는 의미입니다.
- 종합재해지수 계산:
- 이 사업장의 종합재해지수는 1입니다.
종합재해지수를 통해 사업장은 안전 관리 수준을 평가하고,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안전 대책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 이 지수는 사업장 간 비교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며,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.
반응형
'자격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산업안전기사] 방열복의 성능 기준 (0) | 2024.08.28 |
---|---|
[산업안전기사] 자율안전확인 제품 표시 방법 (0) | 2024.08.28 |
[산업안전기사] 매슬로우 욕구 이론 (1) | 2024.08.28 |
[산업안전기사] 하인리히의 사고방지 5단계 (1) | 2024.08.28 |
[산업안전기사] 사업장의 도수율 계산 (0) | 2024.08.21 |